대한은퇴자협회 “향후 20년 대량 인구 퇴직 대비해야”

[사진제공=대한은퇴자협회]

우리 사회의 중추세대인 베이비부머 60년대생의 퇴직이 곧 다가와 향후 20년 대한민국이 노령사회에서 초노령사회로 바바뀌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베이비부머의 퇴직은 기존 4~50년대생의 퇴직후 은퇴 환경과 다를 것이라는 우려가 표명됐다. 

사단법인 에이지연합이 주최하고 NGO단체인 대한은퇴자협회(KARP)가 주관해 지난 6일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개최된 ‘은퇴는 새로운 시작 새로운 출발, 거둬들이지 못하는 장노년층 인력’ 포럼에서 이같은 분석이 나왔다.

이날 KARP은 포럼을 통해 "우리 사회는 베이비부머의 중추세대인 60년대생의 퇴직을 눈앞에 두고 있다"며 "향후 20년을 두고 펼쳐질 6~70년대생 부머의 퇴직은 대한민국을 노령사회에서 초노령사회로 바꿀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들의 퇴직은 지금의 4~50년대생의 퇴직 후 은퇴 환경과 같을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60년대생 퇴직에 대비한 비전 2020이 준비되어야 한다"며 "이 거대한 인구그룹을 scrap-pile로 야적장에 쌓아갈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생산인구는 줄고 있고 노년층 인구가 이미 청소년 인구를 압도하고 있다"며 "새로운 인구 그룹에 맞는 인구대책, 인력전담기구 등의 재편성 작업이 시작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명룡 KARP대표는 발표를 통해 “이제 58년 개띠로 호칭되어 온 50년대생의 퇴직이 끝나가고 386세대로 불리는 60년대생의 퇴직이 시작된다"며 "진보적 성향에 자기 정체성이 강한 이 시대 중추 세대의 퇴직은 현존하는 6070+세대의 정책 대응과 크게 다르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부, 기업, 학계, NGO들이 함께해 노령화 초기에 마련됐던 정책들을 대폭 수정해 새로운 처방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며 "환경이 다른 대량 인구의 은퇴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제 발제를 맡은 한정란 교수 “한국사회에서의 퇴직은 예기된 4중고로 조기퇴직의 고통, 강제퇴직의 고통, 준비 없는 퇴직의 고통과 역할 없는 퇴직의 고통”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지속 가능한 초고령사회를 위한 인구, 복지, 교육, 고용, 문화 정책의 추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정문주 한국 노총 정책본부장은 “급속한 인구변화에 대응하는 노년 정책에서 범정부 차원의 인구사회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선제적인 대응이 요구된다”며 “법정 정년제도와 고령자고용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윤석명 박사는 “취업연령이 30세로 매우 늦고 퇴직연령은 50세로 빨라 20여년이라는 짧은 경제활동을 담보로 사망 시점까지 33년의 장노년기를 살아야 한다는 지속 불가능한 사회구조가 되어가고 있다”며 “OECD가 독려하고 있는 고령근로 장려 및 세대 간 공존이 가능한 사회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덧붙였다. 

ⓒ 사례뉴스는 비즈니스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출처를 표기한 다양한 인용과 재배포를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