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그린 택소노미, 원전 추가한다

원자력발전, 정부에서 인정한 친환경적 발전 방식 에너지 효율 높고, 탄소중립의 지름길 역할 수행 원전 폐기물 처리 시설 마련 미약

2022-09-29     이명서 학생기자

9월 20일에 정부가 원자력 발전을 그린 택소노미(Green Taxonomy)에 추가하기로 결정했다. 그린 택소노미란 공식적인 친환경 인증으로, 어떤 경제적 활동이 친환경인지 아닌지를 따져 정하는 기준이다.

그래서 특정 산업 및 경제 활동이 이 기준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정부의 지원, 세금 혜택 등을 통해 공식적으로 그 분야를 밀어줄 수 있다.

지난 7월 6일에 원자력 발전을 유럽 연합의 그린 택소노미에 포함시키며 국내에 관심을 가져왔다 (출처: 이미지투데이)

그린 택소노미라는 기준은 유럽연합(EU)에서 등장한 것으로, 지난 7월 6일에 원자력 발전을 유럽 연합의 그린 택소노미에 포함시키며 국내에 관심을 가져왔다.

원전 개발을 확대하고자 하는 현 정부는 이 같은 결정이 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원전의 냉각 장치에서 뿜어져 나오는 연기 (출처: 픽사베이)

정부에서 원전을 긍정적으로 여기는 이유는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 등으로 에너지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원전은 비교적 적은 양으로 상당한 양의 전기를 생산해 낼 수 있어, 그 효율성이 뛰어나다. 이에 에너지 공급을 안정화하기 위해 원전을 국가 차원에서 친환경적으로 못 박는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한,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제로(0)으로 만들겠다고 발표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풍력, 태양광 등의 친환경 에너지만으로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여 원전을 통해 이 목표를 실현하고자 한 것이다.

풍력발전시설 (출처: 픽사베이)

그러나 이에 대한 여러 반대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계획 및 규제가 유럽연합(EU)의 규제에 비해 다소 느슨하다는 것이다.

유럽연합의 경우 2050년까지 방사능 폐기물 처리 시설이 작동할 수 있게 해야 하며, 2025년까지 안정성이 확보된 핵연료를 마련할 것을 규제로 두고 있다.

유럽연합의 경우 2050년까지 방사능 폐기물 처리 시설이 작동할 수 있게 해야 하며, 2025년까지 안정성이 확보된 핵연료를 마련할 것을 규제로 두고 있다. (출처: 이미지투데이)

그러나 우리나라는 전자의 경우 2050년까지 처리 시설을 마련할 계획만 있어도 가능하며, 후자의 경우 2031년까지 안전한 핵연료를 준비할 것으로 규정한다.

이러한 느슨한 규제로 인해 너무 빠르게 원전을 K-택소노미에 포함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원전에 대한 규제를 조정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 마련을 통해 택소노미 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출처: 픽사베이)

한편 환경단체 및 운동가들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데 원전이 오히려 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재생에너지의 개발 및 투자를 추진해야 하는데, 방사능 폐기물 등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K-택소노미 정책은 착오라는 주장이다.

정부는 원전에 대한 규제를 조정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 마련을 통해 택소노미 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