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아츠 박찬재 대표 “콘텐츠 제작 대중화 시작…어디서나 음악 만들고 들을 수 있어”
북미시장, AI툴 최소 152개…월간 3500만 명 음악 생성툴 사용 누구나 아티스트가 되는 세상
6월 13일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 40 CKL기업지원센터 지하 1층(CKL 스테이지)에서 ‘2024 콘텐츠산업포럼’이 진행됐다. ‘2024 콘텐츠산업포럼’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개최한 행사로 6월 12일(수)부터 6월 14일(금)까지 3일간 서울 광화문 CKL 스테이지에서 개최한다.
올해 콘텐츠산업포럼은 ‘인공지능 일상화, 콘텐츠 창작 현장의 기회와 도전’을 주제로 ▲정책 ▲게임 ▲이야기 ▲음악 ▲방송 등 5개 분야별 전문가가 발제자로 나서, 인공지능 기술이 콘텐츠산업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 지원 및 대응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6월 12일은 ‘AI가 이끄는 콘텐츠 산업혁명, 현재와 미래’라는 테마를 놓고 생성형 AI를 통한 콘텐츠 생성방식의 변화에대한 이건복 상무(마이크로소프트 솔루션사업부)가 기조 강연을 진행하며 이어서 글로벌 AI 거버넌스가 콘텐츠산업에 미칠 영향 (구태언 변호사 법무법인 린), AI를 활용한 ‘눈물의 여왕’ 제작과 VP의 전망 (안희수 팀장 CJ ENM), K-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필요성 (권한슬 감독 스튜디오프리윌루젼), 생성형 AI와 저작권 (김혜창 본부장 저작권위원회 정책연구본부) 등의 발제가 이어졌다.
6월 13일은 방송, 음악, 게임 산업 분야애 AI 영향에 대한 발제가 부문별로 이어지며 14일에는 ‘생성형 AI와의 공생과 창작의 미래’라는 발제를 통해 웹툰과 스토리에 미치는 AI의 영향을 알아본다.
엔터아츠 박찬재 대표는 ‘AI 아티스트로 개척하는 새로운 시장‘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했다. 아래는 엔터아츠 박찬재 대표 발제 내용이다.
AI를 사용하는 아티스트인지 AI가 만드는 아티스트인지 저도 만들면서 고민하게 되는데 두 가지 다 사용하게 되는 것 같다. 하루가 다르게 많은 AI 생성툴이 나오고 있다. 북미시장에서 만드는 AI 툴이 최소 152개 나와 있다. 월간 3500만 명이 음악 생성툴을 사용하고 있다.
콘텐츠 제작 대중화가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어디서나 음악을 만들고 들을 수 있다. 음악 자체가 AI 때문에 넘친다고 볼 수 있다. 단일 플랫폼 안에서 1억 개 틀이 생성이 되어 만들어져 가고 있다. 창작의 개념이 변화되어 간다.
누구나 아티스트가 되는 세상이라고 볼 수 있다. 작년 2023년 11월에 서울 청소년 시립음악센터에서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 7명을 7주 동안 14시간 교육을 해서 작사, 작곡, 편곡, 가창, 믹싱, 마스터링, 앨범 이미지, 비주얼라이저 뮤비 영상을 교육했고 알려줬다.
이젠 함께 아티스트를 만들 수 있는 세상이 왔다. 예전엔 뮤지션들이 음악 하고 기획사에서 신인개발, 음반 제작,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을 했다면 이젠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분야별 협업 제작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내가 내 아바타에 삶에 투여하며 함께 놀고 즐기는 공간을 통해 대중화 됐다. AI라는 음악을 만들어서 제페토 사용자가 70만 명 정도 팔로워 하는 사례가 있었다.
AI가 음악(트랙)을 만들어 협업하는 방식이 있다. 실존 아티스트에 AI가 곡을 써줘서 콜라보를 한 사례도 있다. AI 생성이 더해진 완곡 제작을 해서 싱어송라이터 오드아이 AI가 노래도 부르는 사례가 있다. 트랙도 AI가 만들고 노래도 AI가 만들었다.
버추얼 아티스트와 버추얼 아티스트들끼리 콜라보레이션 한 사례도 이뤄지고 있고 리얼 아티스트로부터 버추얼 아티스트를 만든 경우도 있다. 실존 아티스트의 부캐를 만들어 AI 음악과 영상을 활용한 콘텐츠 콜라보레이션도 있었다. 여허 형식의 시도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내가 주인공이 되는 게 중요하다는 게 생각이 들어 내 모습이나 내 목소리가 튀어야 된다. 내가 말하는 소리도 노래하고 반주하면 좋겠다는 걸 생각했는데 AI가 노래로 만들어줬다. AI는 도구이며, 음악은 아티스트가 되고 싶은 사람이 만드는 것이다.
AI가 나온 건 일반화될 수 있으나 사용하는 사람들, 단순 음악을 만들기 위해 AI 생성 툴을 만들지는 않는다. AI가 음악을 만들면서 확실히 좋아진 건 코스트다. 코스트는 확실히 줄었고 시간도 많이 줄어들었다. 누구나 아티스트가 될 수 있고 주인공이 될 수 있지만 스타가 되는 과정은 다르다. 툴을 잘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