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모든 렌탈사 유통·판매사·고객 매칭…렌트리 3가지 차별화는?

금융상품과 유사한 렌탈상품

2024-12-12     이예지 기자

12월 11일 강남구에 위치한 코엑스에서 ‘컴업(COMEUP) 2024’가 진행됐다. 올해로 6번째를 맞는 ‘컴업(COMEUP) 2024’은 한국의 우수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전 세계에 알리고, 국내외 스타트업, 투자자 등 글로벌 창업·벤처 생태계 구성원이 교류하는 장으로서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됐다. 

‘컴업 2024’는 12월 11일부터 12일까지 양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며, 해외 40여개국의 혁신 스타트업, 투자자가 참여할 예정이다. 

올해 컴업의 표어(슬로건)는 창업기업(스타트업)이 국가·기술의 경계를 넘어 전세계 혁신을 주도한다는 의미의 ‘Innovation Beyond Borders’이며, 심층기술(딥테크), 외국인국내창업(인바운드), 에스아이에스(SIS(Sustainable Innovation by Startup))를 세부 주제로 학술대회(컨퍼런스), 투자발표(피칭), 전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 컴업의 가장 큰 특징은 그간 컴업이 개최되었던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떠나 코엑스로 이동하여 2배가 넘는 공간에서 국제적(글로벌) 창업기업(스타트업) 축제(페스티벌)로서의 기능을 강화했다는 점이다.

Startup Valley 세션에서 렌트리 서현동 대표가 발표를 진행했다. Startup Valley는 글로벌 무대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선보이는 컴업스타스의 본행사 스타트업 피칭 세션으로 루키 리그, 리너스리그, 로켓리그로 구성되어, 각 분야에서 엄선된 유망 기업들이 비전을 제시하고 경쟁한다.

렌트리는 데이터 기반 렌탈 가전제품 추천 스타트업이다. 서현동 대표는 “대한민국에서 유통되는 정수기 종류만 500여 종이 된다. 렌탈 제품이 금용 상품과 유사하다. 월에 얼마씩 납부해야 하고 소유권이 어떻게 되는지 일시불로 하는 것과는 다르다. 대부분 다 전화 상담을 진행한다. 판매자들이 숨기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번거롭고 불편한 과정이다. 대한민국 렌탈 제품이 유통되는 구조는 60%가 방문판매, 35%가 전화 판매, 5%가 온라인 판매다. 판매자분들의 이야기만 듣고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렌트리 서현동 대표는 카톡 문의 전달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일주일 만에 거래가 성사됐고 수수료를 납부하게 됐다. 그때 서현동 대표는 이 시장에 기회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3년 전에 렌트리를 창업해 현재 대한민국의 모든 렌탈사 유통, 판매사들과 고객에게 매칭 시키고 있다. 

렌트리의 차별화엔 크게 3가지 관점이 있었다. 서현동 대표는 “크게 3가지 관점이 있다. 기본적으로 유통 구조가 불투명하다 보니 투명하지 않는 것이 있었는데 렌트리는 단순 렌탈 제품이 아닌 상담원 1인당 처리 가능 상담 건수와 다른 경쟁사 대시 4배 이상 생상성을 가지고 있다. 고객들이 격적, 구매 전환율도 4배 이상 된다”

“구매 1건을 만들기 위한 오퍼레이션이 효율성을 보인다. 구독형 상품들, 차근차근 확장해 나갈 수 있다. 구독형 소비에 특화된 넘버원 플랫폼으로 지향하고 직접적인 페인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라고 이야기했다.

한편 ‘컴업 2024’는 국내 최대 국제적(글로벌) 창업(스타트업) 축제(페스티벌)로서 국내외 벤처·스타트업 생태계 관계자를 하나로 연결하는 플랫폼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중기부 오영주 장관은 “컴업을 통해서 전세계 창업기업(스타트업)이 만들어내는 혁신의 모습과 창업기업(스타트업)의 혁신이 만들어 내는 미래 모습을 보여드리겠다”라고 말하며, “컴업이 우리나라를 넘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창업기업(스타트업) 축제(페스티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