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사실적인 생성·쉽게 제작·콘텐츠 컨트롤·감정 표현이 가능한 콘텐츠 생성으로 만들어야
6월 13일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 40 CKL기업지원센터 지하 1층(CKL 스테이지)에서 ‘2024 콘텐츠산업포럼’이 진행됐다. ‘2024 콘텐츠산업포럼’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개최한 행사로 6월 12일(수)부터 6월 14일(금)까지 3일간 개최된다.
올해 콘텐츠산업포럼은 ‘인공지능 일상화, 콘텐츠 창작 현장의 기회와 도전’을 주제로 ▲정책 ▲게임 ▲이야기 ▲음악 ▲방송 등 5개 분야별 전문가가 발제자로 나서, 인공지능 기술이 콘텐츠산업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 지원 및 대응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6월 12일은 ‘AI가 이끄는 콘텐츠 산업혁명, 현재와 미래’라는 테마를 놓고 생성형 AI를 통한 콘텐츠 생성방식의 변화에대한 이건복 상무(마이크로소프트 솔루션사업부)가 기조 강연을 진행하며 이어서 글로벌 AI 거버넌스가 콘텐츠산업에 미칠 영향 (구태언 변호사 법무법인 린), AI를 활용한 ‘눈물의 여왕’ 제작과 VP의 전망 (안희수 팀장 CJ ENM), K-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필요성 (권한슬 감독 스튜디오프리윌루젼), 생성형 AI와 저작권 (김혜창 본부장 저작권위원회 정책연구본부) 등의 발제가 이어졌다.
6월 13일은 방송, 음악, 게임 산업 분야애 AI 영향에 대한 발제가 부문별로 이어지며 14일에는 ‘생성형 AI와의 공생과 창작의 미래’라는 발제를 통해 웹툰과 스토리에 미치는 AI의 영향을 알아본다.
넷마블 AI센터 컴퓨터비전AI팀 박성범 팀장은 ‘AI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기술’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했다.
박성범 팀장은 “게임 속 세상은 다채로운 콘텐츠를 즐기고, 유저가 직접 콘텐츠를 만들고, 콘텐츠로 타인과 소통하는 세계다. 콘텐츠는 사실적인 콘텐츠 생성, 쉽게 콘텐츠를 제작, 쉽게 콘텐츠를 컨트롤, 감정 표현이 가능한 콘텐츠 생성으로 만들어야 한다.”
“3년 전 미국 NBC 방송에서 콜드프레이와 방탄소년단의 홉합 현실을 생방송에서 제공했다. 100대 이상의 카메라가 필요해서 저렴하게 구현하기엔 어렵지만 소수의 카메라로 포토리얼리스틱 3차원 휴먼 아바타 제작이 가능하다.”
“그다음으로 생성 AI에 집중해 보려 한다. 인간의 언어만으로 고품질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다. AI는 내가 어떤 데이터로 학습하고 원하는 걸 뽑아내는지에 따라 성능이 나온다. 4억 장 인스타그램 이미지로 학습을 했다. 그 결과 사람의 음성으로 원하는 이미지 구현이 가능했다. 휴먼 모션으로 동작을 콘트롤 하면서 비디오 영상 생성이 가능하다.”
“감정을 이해한다고 할 때 단순히 3D 정보가 있어서 하는 건 아니다. 게임에서 콘텐츠는 상당히 중요하다. 콘텐츠 제작에 4가지 측면인 사실적인 콘텐츠 생성, 쉽게 콘텐츠를 제작, 쉽게 콘텐츠를 컨트롤, 감정 표현이 가능한 콘텐츠 생성을 잘 활용해 보시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반지하게임즈 이유원 대표는 ‘게임 기획과 수단으로서의 AI’라는 주제로 발제를 준비했다.
이유원 대표는 12세 때부터 플래시 게임 1인 개발을 했고 게임 창작이 좋아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10기를 중퇴한 경력이 있다. 그는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인재원 게임기획반 2기 교수로 강의도 진행했다.
반지하게임즈는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드는 인디 정신 유니버셜 디자인, 실물 보드게임,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등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현재 반지하게임즈는 브랜드와 팬덤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 중이다.
이유원 대표는 “인디게임업계에서의 AI 활용 사례로는 비용 절감(제작 단계)와 콘텐츠화(콘텐츠 단계)가 있다. 비용 절감은 고전적인 AI 활용 기대방식으로 인력 대체, 효율화, 자동화를 하고 콘텐츠화는 변화하는 스토리, 소통하는 NPC, Bad Word 차단을 한다.”
“현재 반지하게임즈는 페이크북을 올 8월에 출시 예정이다. 장르는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추리, 미스터리로 가상의 SNS 공간을 무대로 펼쳐지는 인디 추리 어드벤쳐 게임이다.”
“AI 생산물이 여전히 얼마나 진짜 사람이 한 것 같은 지가 판단 척도가 되는 사회 분위기다. 앞서 설명된 본말 전도된 AI 활용 풍조와 부족한 사회적 합의 기반에 기인한다. AI의 긍정적인 산업 도움을 저해하고 논의를 제자리걸음으로 만들지 않을까 하는 근심이 있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