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대파 등 신선식품 수입 증가…국내산 가격 상승 영향
수입 돼지고기 판도 변화…스페인 감소, 독일·브라질·미국 급증
수입식품 부적합, 중국·베트남·미국·태국·인도 순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우리나라가 164개국으로부터 수입한 식품 등의 총량이 약 1938만톤, 357억 달러 수준이라고 밝혔다. 전년 대비 수입 건수는 6.8%, 중량은 5.4%, 금액은 2.7% 증가했다.

수입식품 5.4% 증가[출처: 이미지투데이]
수입식품 5.4% 증가[출처: 이미지투데이]

국가별 수입 현황을 보면, 미국·중국·호주가 전체 수입량의 52.6%(1019만 6000톤)를 차지했다. 특히 미국은 밀·대두·옥수수 수입 증가로 전년 대비 31.2% 증가하며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미국산 옥수수 수입은 1070.7% 증가했다. 

중국 주요 수입품목은 김치(31만 2000톤), 정제소금(22만 3000톤), 호주에서는 밀(120만 2000톤), 원당·주정원료 등 정제가 필요한 식품원료(73만 9000톤)였다.

축산물은 돼지고기(60만 6000톤), 소고기(51만 3000톤), 닭고기(19만 2000톤) 순으로 수입됐으며, 돼지고기 수입은 전년 대비 10.8% 증가했다. 특히 독일산 돼지고기는 전년 대비 4600.0% 급증했고, 브라질(91.7%), 미국(18.0%)산도 크게 늘었다.

가공식품 수입량은 665만톤으로 전체의 34.3%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 특히 김치 수입은 31만 2000톤으로 8.7% 늘어나며 4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고, 대부분은 중국산(99.9%)이었다. 건강기능식품은 2만 3000톤 수입돼 전년 대비 4.2% 감소, 수년간의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전환했다.

전체 수입량 중 부적합 비율은 0.04%(약 7000톤)였으며, 주요 부적합 국가로는 중국, 베트남, 미국 순이고, 품목은 폴리프로필렌, 과자, 과채가공품 등이다. 주요 사유는 식품첨가물 기준 위반, 농약 잔류 허용기준 초과, 미생물 기준 위반 등이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수입식품 통계 자료 제공으로 식품 산업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수입식품 전 과정에 걸친 안전관리 체계를 기반으로 국민이 안심하고 수입식품을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사례뉴스는 비즈니스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출처를 표기한 다양한 인용과 재배포를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