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국내·해외 여행 동향 보고 9월

국내 여행 동향 보고 9월

 현황

9월 국내 숙박여행 경험률은 69.2%로 ’24년 2월 이후 증가세를 이어감(p.9).

국내여행 평균 기간은 3.15일, 1인 당 총 경비는 23.9만 원, 1일 당 7.6만 원임(p.11).

강원도는 ’24년 6월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임(23.6%).

코로나 이전 대비(2019년 9월 대비)

국내 숙박여행 경험률과 계획률의 TCI는 각각 94, 98로 코로나 직전 동월 대비 소폭 낮음(p.9, 18).

호텔은 숙박 장소와 숙박 예정지 각각의 TCI가 123, 109로 숙박 시설 중 가장 높은 선호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p.13, 23).

전망

국내여행 계획률은 계속해서 감소해(전월 대비 0.6%p 감소), 추후 휴일(추석, 공휴일)의 여행 확대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보임(p.18).

대표 여름 휴가지인 강원도(45.6% → 43.7%), 제주도(34.3% → 33.0%) 점유율 하락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됨(p.20).

국내 여행 중 ‘휴식’을 대체할 활동으로 ‘식도락’이 높아질 것으로 보임(+3.0%p).

해외 여행  동향 보고 9월

현황

9월 해외여행 경험률(지난 6개월내)은 35.4%로 ’24년 6월 이후 소폭 상승함(p.25).

평균 기간은 6.59일, 1인 당 총 경비 169.6만 원, 1일 당 경비 25.7만 원임(p.27).

일본(34.0%) 점유율이 상승하였고, 베트남(16.6%)은 하락함(p.26).

코로나 이전 대비(2019년 9월 대비)

해외 여행 경험률의 TCI는 85로 ’23년 11월 이후 회복 정체 중임(p.25).

계획률(47.6%)은 TCI 92이고,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함(p.33).

일본 여행 지역 점유율 TCI는 168로 모든 여행지 중에 가장 높음(p.26).

1인 당 총 경비와 1일당 경비의 TCI는 각각 120과 114로 코로나 이전 대비 비용 지출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남(p.27).

전망

계속된 해외여행 지출 의향 하락세로 가성비 여행이 증가할 것으로 보임(p.32).

해외여행 경험률 및 계획률이 회복세를 보여, 연말/연초 근거리 중심으로 해외여행의 경험률 증가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됨(p. 33, 34).

여름 휴가 중 대표 휴양지인 동남아시아(베트남, 태국 등)에 대한 여행 점유율이 전월 대비 하락한 반면, 일본의 여행 계획율이 상승함(27.9% → 29.1%, p.34).

ⓒ 사례뉴스는 비즈니스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출처를 표기한 다양한 인용과 재배포를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