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경제활동참가율 49.4%…청년층 추월한 지역만 10곳
노인 재취업, 다수는 비정규직…“질 낮은 일자리 악순환” 우려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10곳에서 노년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청년층을 추월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제활동참가율은 전체 인구 중 근로 또는 구직 활동을 하는 인구의 비율로, 60세 이상의 경제활동참가율(전체 인구 대비 경제활동인구 비율·경활률)이 청년층(15~29세)의 경활률을 역전하는 ‘실버크로스’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60세 이상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9.4%로 집계됐다. 60세 이상 경활률은 1년 전(48.6%)보다 0.8% 포인트 상승해 1996년 6월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노인 인구의 증가 속도보다 노인들이 노동 시장에 참가하는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분기(1~3월) 기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0곳의 60세 이상 경활률이 청년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제주의 노인층 경활률은 청년층보다 16.0% 포인트 높았고, 전남(14.8% 포인트), 경북(12.0% 포인트), 경남(11.0% 포인트), 전북(10.6% 포인트) 등도 격차가 컸다.
고령화 현상이 심화하면서 노인 경활률이 높아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긴 하지만, 심각한 노인 빈곤율이 이들을 구직 시장으로 이끈 원인 가운데 하나라는 부분에서 우려가 제기된다.
2023년 기준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38.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노인 일자리의 상당수는 고용 안정성이 낮다. 지난해 8월 기준 60세 이상 정규직은 122만 2000명, 비정규직은 281만 2000명으로, 전 연령대 중 비정규직 수가 가장 많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1위인 노인 빈곤율(2023년 기준 38.2%)을 고려했을 때 한국 노년층은 일손을 놓기 힘들다. 청년층의 수도권 대도시 ‘쏠림 현상’을 해소할 방법이 없는 점이 이 현상을 가속화하는 요인 중 하나다.
통계청의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 통계’ 결과를 보면 중부·호남·영남권의 20대 중 5만4000명이 수도권으로 순유출됐다. 수도권 내 대학 진학과 구직 활동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