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7일 배송’ 유지하며 ‘주 5일 근무’ 실현…업계 최초 백업기사 시스템 정착
전국 영업점에 휴가 독려...휴가 사용률 높은 지점 별도 시상 계획도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가 ‘주 7일 배송’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배송기사들의 ‘주 5일 근무’를 현실화하기 위해 도입한 ‘백업기사 시스템’에 이어, 배송기사들의 휴가 사용을 장려하는 캠페인을 본격 추진한다.

CLS는 지난해 7월 퀵플렉서를 대상으로 '나만의 특별한 휴가사진 공모전'을 진행했다.[쿠팡 제공]
CLS는 지난해 7월 퀵플렉서를 대상으로 '나만의 특별한 휴가사진 공모전'을 진행했다.[쿠팡 제공]

CLS는 2월, 4월, 5월에 이어 7월에도 전국 영업점에 배송기사 휴가 독려 이메일을 발송했다. 필요 시 직고용 인력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영업점을 지원하고 있으며, 향후 휴가 사용률이 높은 영업점에 대해 시상을 계획하고 있다.

일부 택배사는 인력 보강 없이 주 7일 배송을 시행하면서 기사들이 사실상 8월 ‘택배 없는 날’ 하루 외에는 쉬기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CLS는 업계 최초로 ‘백업기사’ 제도를 운영해 배송기사들이 주 5일 이하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주 4일 배송도 가능해 기사들은 최대 주 3일의 휴식을 보장받으면서 고객은 주 7일 배송 혜택을 유지할 수 있다.

CLS는 2025년부터 주 6일 근무를 선택한 기사들에 대해서도 반기마다 최소 1회, 연간 2회 이상의 ‘의무 휴무제’를 시행한다. 기존 업계가 8월 하루만 쉬는 방식에서 나아가 기사들이 원하는 시기에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수입을 위해 주 6일 근무를 택했던 기사들도 의무 휴무제를 계기로 주 5일 근무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수도권 CLS 영업점 관계자는 “기사들이 개인사업자로서 고수입을 원해 주 6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최근에는 주 5일 근무를 선택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CLS 관계자는 “계약 단계에서부터 백업 인력을 확보해야만 위탁이 가능한 구조를 운영 중”이라며 “앞으로도 영업점과 협력해 배송기사들이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제도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 사례뉴스는 비즈니스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출처를 표기한 다양한 인용과 재배포를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