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오랫동안 답답함을 품고 있느냐에 따라 결과물의 수준이 정해진다

막노동으로 살아가는 한 남자가 있었다. 어느 날 백혈병을 진단을 받는다. 하지만 최선을 다해 살았다. 그리고 한 여자를 만났다. 두 사람은 사랑에 빠졌고 결혼했다. 여자는 남자가 몇 개월 또는 1년 뒤가 남자의 마지막 해가 되리라 생각하며 남은 기간 정성껏 보살피기로 했다.

여자는 자신이 누군가를 이렇게 사랑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 못했다. 여자는 사랑에 자신을 온전히 바치는 걸 두려워했던 사람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어떤 희생도 감수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이 남자를 만나기 전까지 어떤 사람과도 1년 이상 관계를 지속해본 적이 없었다. 하지만 이 남자는 아팠기 때문에 모든 장애물들을 이겨낼 수 있었다고 한다. 이 남자를 사랑하면서 마침내 제대로 된 인간이 된 것 같다고 말한다.

바로 그때 남자는 골수 이식 수술을 했고 성공적이었다. 시한부 인생이었다가 살아난 남자는 눈에 띄게 건강이 회복됐다. 6개월 정도가 지나자, 거의 병이 나은 같았다. 그러나 남자와 여자의 관계는 전과 같지 않았다. 여자는 뭔가에 갇힌 듯한 막히는 기분이 들었다.

심각한 상황에서 맺어진 관계에서 그 상황이 호전되면 이런 감정적 동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여자에게는 삶의 끝이 보이는 죽어가는 사람을 보살펴주며 미담의 당사자로 남는 것보다 50년을 일상적 삶으로 채워가는 것이 더 힘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전략적 지연, 일을 미룬다)

애덤 그랜트 교수는 자신의 저서 《오리저널스》에서 창의적인 사람들의 특성을 밝힌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창의적인 사람이라 하면 ‘전문가이며, 자신만의 세계관을 구축하여 고집이 세며, 생각이 기발하며, 머리가 잘 돌아가는 행동이 빠른 사람들’을 일컫는다. 그런데 그랜트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창의적인 사람들의 특성은 1) 반드시 전문성이 뛰어난 것은 아니다2) 오히려 타인에게 폭넓은 견해를 구한다. 3) 타인보다 앞섬으로써 성공한 경우보다 참을성 있게 행동할 때를 기다림으로써 성공한 사례가 보편적이다4) 일을 미룬다.

애덤 그랜트 교수는 4번 ‘일을 미룬다.’다는 것을 '전략적 지연'이라 불렀다. 이것이 창의적이며 독특한 뭔가를 만드는 데 핵심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은 구상하는 데만 15년이 걸렸다. 다빈치는 작업을 미루게 될 때마다 화가 치밀기도 했지만, 독창성은 서두른다고 달성되지 않는다는 점을 그는 알고 있었다.

1927년 러시아 심리학자 블루마 자이가르닉은 사람들은 완성된 작업보다 미완성된 작업에 대해 더 잘 기억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사람들은 작업이 일단 마무리되면 더 이상 그 작업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을 중단한 채로 내버려둘 경우, 그 일에 대한 생각이 머릿속을 계속 멤돈다는 것이다.

(고의적으로 느릴수록 깊어진다)

전략적 지연은 설익은 해결책을 제시하려는 뇌의 충동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일을 미루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계획을 세우는 과정을 건너뛰는 것이 아니다. 전략적으로 꾸물거리면서 다양한 가능성을 시도하고, 수정, 보완하면서 점진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시한부 선고를 받은 남자를 간호하는 아내처럼 짧은 시간동안 자신의 모든 것을 거는 것이 50년을 일상적 삶으로 채우는 일보다 어쩌면 더 쉬울 수 있다. 숨을 딱 참고 달리는 단거리 경주보다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희미한 안개 속을 계속 달리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는 의미다.

절박하면 몰입하기 쉽다. 마감시간이 정해지면 그때 가서야 일을 끝낼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이처럼 몰입하면 자신도 모르는 에너지가 나온다. 뇌를 몰입상태로 만들려면 뇌에게 그 작업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계속 상기시켜주어야 한다. 그러면 뇌는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느껴 그 문제를 계속 생각하며, 그 문제를 절박한 것으로 느낀다. 이것이 어떤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생각하면 답을 낼 수 있다는 몰입의 원리다.

뇌는 본능적으로 게으르다. 시작한 일을 빨리 끝내고 쉬기를 원한다. 더 깊어지거나 더 성장하기 위해서 우리는 뇌가 원하고 방향과 반대로 움직여야 한다. 그것중 하나가 ‘전략적 지연’이다. 본능을 거스르는 태도가 창의와 독창을 만든다. 조급함은 창의나 독창과 관련 없다.

시작은 빨리, 결과물은 꾸물거리며 늦게

*본 기사는 사례뉴스 필진기자 미세영역연구소 정강민 대표가 쓴 칼럼입니다. 정강민 대표는 ‘감동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왜 당신은 자살하지 않는가?’ ‘왜 같은 일을 하는데 누구는 성공하고 누구는 실패하는가?’ 등 세상의 본질을 깨우치고 싶어 읽고 쓰며 경영의 본질과 책 쓰기, 독서법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위대한 기업은 한 문장을 실천했다’ ‘스타트업에 미쳐라’ ‘탁 대표는 처참한 실패 후, 7개월 만에 어떻게 승승장구했을까?’ ‘혼란스러움을 간직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사례뉴스는 비즈니스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출처를 표기한 다양한 인용과 재배포를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