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9일 오후 10시 '2024 IPS 국가경쟁력 글로벌 콘퍼런스'가 역대 최고 참석율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개최됐다.

올해로 26년째를 맞이하는 이번 콘퍼런스는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aSSIST)와 스위스 유엔훈련조사연구소(UNITAR)가 공동 주최하고 국제경쟁력연구원(IPSNC)이 주관하여 국가경쟁력 분야에서 이미 그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 약 100명이 참석했던 이 컨퍼런스는 해마다 글로벌 국가경쟁력 순위 발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특히 올해는 스위스, 미국, 중국 등 세계 여러 나라의 교수와 서울시청 및 주한 외국 대사관 등 약 180명이 참여하여 역대 최대 인원이 참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매년 세 곳의 주요 글로벌 기관인 국제경영개발원(IMD), 세계경제포럼(WEF), IPS NC에서 국가 경쟁력 순위 보고서를 발표한다. IMD와 WEF는 각각 단일 종합 경쟁력 순위를 발표하는 반면, IPS NC는 비용 전략(Cost Strategy)과 차별화 전략(Differentiation Strategy)이라는 두 가지 전략 순위를 발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두 가지 전략 옵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경쟁력 순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글로벌 이슈는 미-중 갈등

2024년 IPS 국가경쟁력 순위 발표에서 전 세계 국가 경쟁력의 지형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는 미-중 갈등이 세계 국가들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며, 글로벌 긴장이 고조된 한 해 동안, 미국과 중국은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상반된 경로를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CS와 DS 두 카테고리에서 모두 4위에 올랐다(62개 국가/지역 중). 이는 미국의 혁신 및 산업 발전에 대한 집중이 효과를 보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중국은 DS 순위에서 22위로 하락했지만 CS 순위에서는 9위를 유지하였다. 이 하락은 지속적인 지정학적 분쟁이 중국의 글로벌 경쟁력을 약화시켰음을 보여준다. 

두 나라 간의 정치 체제, 문화, 이념 등 민감한 이슈에 대한 갈등에도 불구하고, 협력과 경쟁의 여지는 여전히 존재한다. 미국과 중국의 분석은 다른 경제국들이 자국의 경쟁적 및 협력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국가 경쟁력에 대한 IPS 모델 정보

IPSNC는 국가 경쟁력을 여덟 가지 요소를 사용하여 평가하는데, 이는 네 가지 물적 요소와 네 가지 인적 요소로 나뉜다. 물적 요인에는 요소 조건, 수요 조건, 관련 산업, 그리고 비즈니스 환경이 포함된다. 

인적 요인에는 근로자, 정책 입안자 및 행정가, 기업가, 그리고 전문가가 포함된다. 62개 국가/지역이 비용 전략을 채택할 경우, 요소 조건과 근로자와 같은 비용 중심 요소에 더 많은 비중이 주어진다. 반대로 차별화 전략을 사용할 경우, 여덟 가지 요소의 가중치가 달라지며, 수요 조건과 전문가에 더 큰 비중이 부여된다. 

아래 표 1은 2024년 두 전략 순위의 결과를 보여준다. 비용 전략과 차별화 전략에 기반한 순위는 눈에 띄게 다른 결과를 보인다. CS 순위에서 캐나다(1), 아랍에미리트(UAE)(2), 호주(3), 미국(4) 등 상위 4개 경제권은 모두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반대로 DS 순위에서는 스위스(1), 덴마크(2), 싱가포르(3), 미국(4) 등 선진국이 상위권을 장악하고 있다.

올해는 특히, 미국 대통령 선거가 예정되어 있어, 이 정치적 사건이 내년 컨퍼런스 준비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도 중요한 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산업정책연구원은 1993년 한국에서 설립되었으며, 국가경쟁력 연구의 글로벌화를 위해 2020년 스위스 제네바로 연구소를 이전해 UNITAR 및 Franklin University Switzerland의 Taylor Institute와 함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제경쟁력연구원(IPSNC)은 2006년 기획재정부 산하 조직으로 설립된 후 산업정책연구원이 2000년 시작한 IPS국가경쟁력 랭킹 연구프로젝트를 이어받아 진행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세계 주요 대학들의 혁신성을 평가하는 세계혁신대학(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for INNOVATION, WURI) 랭킹을 2020년부터 발표하고 있다.

ⓒ 사례뉴스는 비즈니스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출처를 표기한 다양한 인용과 재배포를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