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적인 정리가 필요할때 "

근무평가 이후 우리

일반적으로 근무 평가 이후에는 만족하는 사람들보다 그와 반대의 기분을 느끼는 사람들이 월등히 높은 편이다. 기업의 규모에 따라 대기업에서 소기업으로 갈수록 만족도는 줄어드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현명한 직장인들은 평가 후 태도를 더 정돈하는 편이다. 현실적인 직장인들의 평가 이후 태도를 알아보자.

1. 긍정적인 수용

물론, 근무평가 결과에 대한 불만이 있을 수 있지만, 이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가 결과는 개인의 성장 기회로 삼고, 부족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보상이 자신의 평가와 비례한다고 생각하겠지만, 평가와 보상은 비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기업의 실적에 따라 인건비를 조절하기 때문에 꼭 자신의 보상 수준에 자신의 평가를 맞출 필요는 없다.

2. 자기 반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업무 스타일과 성과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어떤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한지, 어떤 강점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가자나 인사팀에 문의해서 따지는 것보다, 그 평가자들에게 자신의 부족한 점을 묻고 개선하는 것이 훨씬 현명한 방법이 될 수 있다.

3. 정보 수집

실무를 하면서 느낀 점은 3년까지이다. 무슨 말이냐면, 기업이 추진력을 얻기까지 수년이 걸리지만, 3년 동안 원하는 보상과 같지 않다면 과감하게 이직을 도전해 보는 것이 좋다. 누구에게나 잘 맞는 기업은 없다. 반대로 자신과 맞는 기업은 분명히 있고, 3년간 본인 평가가 바닥이었다면 괜한 자책할 필요는 없다. 다만, 3년 동안 나 역시 최선을 다했는가를 충분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4. 목표 설정

근무평가와 연봉 재계약 후, 향후 1년간의 목표를 설정하여 구체화시키는 것이 좋다. 어떤 기술을 배우고,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5. 멘토링 및 네트워킹

직장 내외의 멘토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다양한 네트워킹 기회를 활용하여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고, 경력 개발에 도움이 되는 조언을 받아 성장하는 것이 좋다.

6. 결론

근무평가와 연봉 재계약은 직장인에게 중요한 전환점이다. 그렇기에 긍정적인 마음가짐과 전략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평가 결과를 수용하고, 연봉 협상에서 자신의 가치를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일종의 눈치싸움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직장인들은 더 나은 경력 개발과 성장을 이룰 수 있으며, 직장 생활에서의 성공은 결국 자신이 설정한 목표와 그 목표를 향한 지속적인 노력에 달려 있다.

ⓒ 사례뉴스는 비즈니스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출처를 표기한 다양한 인용과 재배포를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