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근로자, OECD 회원국 중 1위
가난한 노인, 일해야만 가능한 생계유지
질 좋은 노인 일자리 부족한 실정....정년 연장론 대두

우리나라는 2017년 이후 고령화 사회(전체 인구 대비 노인 인구 7%~14%)에서 고령사회(14%~20%)로 바뀌었다.

현재는 올해 5월 기준 17.6%이고, 통계청은 2년 후인 2024년에 초고령 사회(전체 인구 대비 노인 인구 20% 이상)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노인이 가난한 나라로,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이 OECD 회원국 중 1위(43.4%)이다. 그래서 은퇴한 후에도 일하려는 노인이 많아지고 있는데, 그 비율이 34.1%로 이 또한 OECD 회원국 중 1위를 차지했다.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노인이 일하려는 이유는 크게 3가지로, 한 가지는 사회 활동을 통해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외로움을 달래기 위함이다. 노인 일자리를 통해 우울증 환자 및 의심 환자 비율이 75% 감소했다는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

두 번째는 자녀에게 손 벌리지 않고 스스로 돈을 벌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노인 소득은 자녀에게서 받는 용돈보다 직접 버는 비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인 빈곤율 때문이다. 노후가 불안정한 노인이 많아짐에 따라 생계유지를 위해 돈을 벌어야 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노인의 일자리에 대한 수요는 늘었지만 현재 질 좋은 일자리가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공공일자리는 단순한 보조와 같은 업무에 불과하며 임금 또한 월평균 27만 원 수준이므로 공공일자리만으로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정년연장론'이 대두되어 정년퇴직 연령 기준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전체 인구 대비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현 상황을 근로 현장에서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또한 국민연금 개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연금에 돈을 넣는 기간이 짧아 충분한 금액을 돌려받지 못해 어쩔 수 없이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 나오고 있다.

그래서 전문가는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국민연금 가입 기간을 연장하거나 다른 연금 보장 제도를 통해 노인 소득을 안정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노인 일자리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단순한 작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높은 질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령화, 노인 빈곤, 우울 등의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정부에서는 노인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사례뉴스는 비즈니스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출처를 표기한 다양한 인용과 재배포를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