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의 시대는 분명히 다시 올 것
새로운 형태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탄생하게 될 것
증강현실은 사람들을 모이게 할 것이다!
알비언 명배영 CEO는 메타버스 시대가 분명히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6월 1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C홀에서 '2023 메타버스 생성AI 서밋' 컨퍼런스가 열렸다.
‘2023 메타버스 생성 AI 서밋’은 웹 3.0, 메타노믹스, 생성 AI를 주제로 3일간 진행되며 국내외 메타버스, 웹3.0, AI 업계를 대표하는 연사진들로 구성되어 미래 전망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알비언 명배영 CEO는 ‘소셜 미디어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AR & 메타버스’라는 주제로 인사이트를 나눴다. 그는 “지금의 SNS가 자신들의 존재를 증명하면서 여기까지 왔다고 생각한다. 구속의 시대에서 자유의 시대로 중앙화에서 탈중앙화로 기여에서 보상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등장하는 SNS가 다음 세대 SNS가 될 거라는 확신이 있다”
“일류의 발달은 지속적으로 시간의 단축으로 발달해왔다고 생각한다. 노동의 시간의 단축, 이동 시간의 단축, 소통과 경험 위주의 단축. 인류는 끊임없이 시간의 단축으로 개발해왔다고 생각한다”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그는 “여러분들도 지금 굉장히 많은 소설미디어를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여러 가지 SNS들을 사용하고 있을 텐데 이로 인해 많은 긍정적인 문제도 있지만 가장 심각한 것은 SNS 상에 돌아다니는 수많은 경험들이 쏟아져 나오는 경험들도 인해 피로감이 극대화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 상대적 박탈감이 왜 나왔냐? 처음에는 SNS를 통해 다른 사람들의 일상을 보는 게 재밌었는데 그들의 공유하는 양에 비해 상대적 박탈감이 시달리게 될 것이다. 미래에 SNS는 상대적 박탈감 문제도 끌어안고 가야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지금도 우리들은 이 시간에 많은 SNS들을 사용하고 살아간다. 모바일 중심의 3G, 4G 시대가 되면서 동영상과 관심사에 따른 콘텐츠 중심의 형태까지 진화를 했다. 5G 시대에 대해 명배영 CEO는 “5G 시대에 어떤 모습의 SNS가 나올 거라고 기대하는지 궁금하지 않냐? 최근 SNS에서는 Real Space 2D 공간에서 3차원 세계로 가는 공간이다. 현실에서 경험하는 것보다 훨씬 확장된 것이다”라며 미래 SNS를 예측했다.
이어 그는 “지금 현재는 현실에서 경험하고 있는 공간에서 콘텐츠를 생산하지만 이 콘텐츠를 다시 SNS에 공유를 하게 되는 것이다. 현실에서 경험하고 이 경험을 현실에 남길 수는 없을까? 내가 지금 음식을 먹고 있는 경험을 이 음식에 남길 수는 없을까? 이 경험을 여행지에 남겨놓을 순 없을까? 이것들에 대한 답은 메타버스가 될 것이다”
“메타버스는 현실과 연결되어 있지만 현실과는 단절된 모습이다. 메타버스의 시대는 분명히 다시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 사람에게는 다양한 인격을 가지고 있다. 메타버스에선 이런 다양한 인격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다.”
“하지만 현실과 다른 메타버스를 만들게 된다면 그저 공산이 된다. 가장과 현실을 어떻게 자연스럽게 연결시킬 수 있을까? 고민을 했다. 현실의 경험을 현실에 직접 계시를 하는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탄생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증강현실은 사람들을 모이게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이야기 했다.
한편, 본 행사는 지난 2018년부터 ‘서울VR·AR 엑스포 (Seoul VR·AR Expo)’로 매년 개최되었다가 산업 트렌드를 반영하여 2022년도부터 ‘메타버스 엑스포’로 명칭을 변경하여 올해 6회차를 맞이했다.
